뉴스경산

고2 9급 공무원 준비 현실적 조언 얻고 싶습니다. 고1 때부터 모고 5-8등급이었습니다.내신은 잘보면 4 못보면 7...평균 5-6정도?작년엔 군부사관을

2025. 4. 22. 오전 5:06:03

고2 9급 공무원 준비 현실적 조언 얻고 싶습니다. 고1 때부터 모고 5-8등급이었습니다.내신은 잘보면 4 못보면 7...평균 5-6정도?작년엔 군부사관을

고1 때부터 모고 5-8등급이었습니다.내신은 잘보면 4 못보면 7...평균 5-6정도?작년엔 군부사관을 지망했었고요.지금은 대학을 갈 수 있을지가 고민입니다.딱히 하고 싶은 게 없어요.특성화고면 자격증이라도 2-3개 따고 성취감도 얻을텐데 저는 중딩 때부터 공부로 성취감을 느낀 적은 없어요.대학 정시,수시 다 별 흥미가 없어요. 이도 저도 아닐바에 9급공무원이라는 목표를 정해서 공부하는 게 어떨까요.만18세부터 응시 가능하니까 2-3년 공부해서 남들 대학 갈 때 저는 공무원....

진심 어린 고민이 느껴져요.

공부로 성취감을 느껴본 적도 없고,

대학도 별 흥미 없고,

뭘 해야 할지도 모르겠는 상황에서

“9급 공무원”이라는 목표라도 붙잡고 싶다는 마음,

진짜 이해돼요.

그런데 현실적으로

조심스럽게

몇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어요.

1. 고등학생이 바로 9급 공무원 준비해도 될까?

응시 자격은 말씀하신 대로

만 18세 이상이면 돼요.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도 응시할 수 있고요.

그러니까 조건상으로는 가능해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한가?”라는 질문에는

조금 신중하게 접근해야 해요.

  • 고졸로 단기간에 붙는 사람은 정말 드물고,

  • 대부분 2~3년 이상 걸리는 경우가 많고,

  • 떨어지면 다시 대입 준비를 하기도 어렵게 돼요.

특히 공부 습관이 아직 제대로 잡히지 않았다면,

혼자서 9급 준비를 하는 건

생각보다 많이 버거워요.

하루 6~8시간씩 국어·영어·한국사 같은 과목을 ‘계속’ 봐야 하니까요.

2. 공부가 재미없는데, 공무원 공부는 괜찮을까?

솔직히 말하면,

공무원 공부는 훨씬 재미 없어요.

성취감도 오랫동안 안 오고,

결과도 늦게 나와요.

무엇보다 혼자 공부해야 하니까

자기관리가 정말 중요해요.

공무원 공부는 “마음만 먹으면 된다”가 아니라,

“생활을 공부 위주로 완전히 바꾸겠다”는

각오가 필요해요.

3. 그렇다고 대학 가는 게 답일까? 그건 또 아님

대학도 딱히 원하지 않고,

진로도 불확실한데

“어디라도 가보자”는 마음으로 대학 가는 건

사실 큰 의미 없어요.

등록금 들고 시간 쓰는데,

방향 없이 보내면 나중에 더 답답해질 수 있어요.

4. 그래서 추천하고 싶은 건 이거예요

  • 고2 지금 시점에서는,

  • 공무원 준비를 목표로 잡는 건 좋아요.

  • 단, 준비를 하되 ‘최종’이란 생각은 하지 마세요.

  • 준비해보면서

  • “나는 이런 공부가 맞을까?”,

  • “나에게 어울리는 방향이 뭘까?”를

  • 같이 고민해보면 좋겠어요.

  • 공부 말고도 ‘직업세계’에 대해 많이 알아보세요.

  • 고졸 공무원,

  • 기능직, 군무원, 철도공사, LH 고졸 채용,

  • 소방/경찰 특채, 사회복지직, 행정복지센터 기간제 등

  • 생각보다 다양한 공공일자리가 있어요.

  • 고졸 채용하는 공공기관도 꽤 있고요.

  • 진로 관련 유튜브나 블로그,

  • 공무원 커뮤니티 글들도 꾸준히 읽어보세요.

  • 공무원이 단순히 안정적이기만 한 직업은 아니라서,

  • 내부 분위기, 성격에 맞는지 이런 것도 중요해요.

마지막으로 현실적인 팁 하나 더

너무 빠른 결정 말고,

“일단 시작해보자. 하다 보면 나한테 맞는 방향이 보일지도 모른다”는 마음으로

접근해보면 훨씬 좋아요.

지금 충분히 잘 고민하고 계신 거예요.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