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9급 공무원 준비 현실적 조언 얻고 싶습니다. 고1 때부터 모고 5-8등급이었습니다.내신은 잘보면 4 못보면 7...평균 5-6정도?작년엔 군부사관을
고1 때부터 모고 5-8등급이었습니다.내신은 잘보면 4 못보면 7...평균 5-6정도?작년엔 군부사관을 지망했었고요.지금은 대학을 갈 수 있을지가 고민입니다.딱히 하고 싶은 게 없어요.특성화고면 자격증이라도 2-3개 따고 성취감도 얻을텐데 저는 중딩 때부터 공부로 성취감을 느낀 적은 없어요.대학 정시,수시 다 별 흥미가 없어요. 이도 저도 아닐바에 9급공무원이라는 목표를 정해서 공부하는 게 어떨까요.만18세부터 응시 가능하니까 2-3년 공부해서 남들 대학 갈 때 저는 공무원....
진심 어린 고민이 느껴져요.
공부로 성취감을 느껴본 적도 없고,
대학도 별 흥미 없고,
뭘 해야 할지도 모르겠는 상황에서
“9급 공무원”이라는 목표라도 붙잡고 싶다는 마음,
진짜 이해돼요.
그런데 현실적으로
조심스럽게
몇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어요.
1. 고등학생이 바로 9급 공무원 준비해도 될까?
응시 자격은 말씀하신 대로
만 18세 이상이면 돼요.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도 응시할 수 있고요.
그러니까 조건상으로는 가능해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한가?”라는 질문에는
조금 신중하게 접근해야 해요.
고졸로 단기간에 붙는 사람은 정말 드물고,
대부분 2~3년 이상 걸리는 경우가 많고,
떨어지면 다시 대입 준비를 하기도 어렵게 돼요.
특히 공부 습관이 아직 제대로 잡히지 않았다면,
혼자서 9급 준비를 하는 건
생각보다 많이 버거워요.
하루 6~8시간씩 국어·영어·한국사 같은 과목을 ‘계속’ 봐야 하니까요.
2. 공부가 재미없는데, 공무원 공부는 괜찮을까?
솔직히 말하면,
공무원 공부는 훨씬 재미 없어요.
성취감도 오랫동안 안 오고,
결과도 늦게 나와요.
무엇보다 혼자 공부해야 하니까
자기관리가 정말 중요해요.
공무원 공부는 “마음만 먹으면 된다”가 아니라,
“생활을 공부 위주로 완전히 바꾸겠다”는
각오가 필요해요.
3. 그렇다고 대학 가는 게 답일까? 그건 또 아님
대학도 딱히 원하지 않고,
진로도 불확실한데
“어디라도 가보자”는 마음으로 대학 가는 건
사실 큰 의미 없어요.
등록금 들고 시간 쓰는데,
방향 없이 보내면 나중에 더 답답해질 수 있어요.
4. 그래서 추천하고 싶은 건 이거예요
고2 지금 시점에서는,
공무원 준비를 목표로 잡는 건 좋아요.
단, 준비를 하되 ‘최종’이란 생각은 하지 마세요.
준비해보면서
“나는 이런 공부가 맞을까?”,
“나에게 어울리는 방향이 뭘까?”를
같이 고민해보면 좋겠어요.
공부 말고도 ‘직업세계’에 대해 많이 알아보세요.
고졸 공무원,
기능직, 군무원, 철도공사, LH 고졸 채용,
소방/경찰 특채, 사회복지직, 행정복지센터 기간제 등
생각보다 다양한 공공일자리가 있어요.
고졸 채용하는 공공기관도 꽤 있고요.
진로 관련 유튜브나 블로그,
공무원 커뮤니티 글들도 꾸준히 읽어보세요.
공무원이 단순히 안정적이기만 한 직업은 아니라서,
내부 분위기, 성격에 맞는지 이런 것도 중요해요.
마지막으로 현실적인 팁 하나 더
너무 빠른 결정 말고,
“일단 시작해보자. 하다 보면 나한테 맞는 방향이 보일지도 모른다”는 마음으로
접근해보면 훨씬 좋아요.
지금 충분히 잘 고민하고 계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