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운동 질문
동학농민운동 전개 과정 (1894년)1월 고부민란-배경: 전라도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부당한 세금, 만석보 축조 강요 등).-결과: 농민들이 고부 관아를 습격하여 고부민란 발생.-성격: 자발적 소규모 봉기, 동학 교도 전면 참여는 아님.3월 동학농민전쟁 1차 봉기-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이 중심.-전라도 일대에서 대규모 봉기 확산.-황토현 전투(4월 7일): 농민군이 관군 격파.-황룡촌 전투(4월 23일): 다시 관군 격파.-결과: 농민군 세력 급격히 확대.4월 전주 점령과 전주 화약-농민군이 전주성 점령(4월 27일).-정부는 청군을 요청했고, 일본군도 출병 → 국제적 긴장 고조.-위기 속에서 정부와 농민군은 전주 화약(5월 8일) 체결.-조건: 농민군 해산 ↔ 정부는 폐정 개혁 약속.-이후 농민군은 집강소를 설치해 개혁 실천(탐관오리 축출, 신분제 폐지, 조세제도 개혁 등).2차 봉기 (9월)-청·일 양군의 조선 파병 → 동학농민군은 외세 개입에 반발.-전봉준을 중심으로 다시 봉기.-우금치 전투(11월 11일): 농민군이 일본군·관군 연합에 대패.-지도자 체포·처형, 운동은 좌절.